로고
내적 아름다움을 위하여
도르가의 이야기
아프리카 이야기
수강신청
 > 아름다운 공동체 > 내적 아름다움을 위하여
LIST DETAIL GALLERY VOTE MODIFY DELETE  
제목: 나에게 무엇을 허락 할 것인가?
글쓴이:상담센터 날짜: 2024.11.30 16:38:19 조회:435 추천:0 글쓴이IP:
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나에게 무엇을 허락 할 것인가?

카린을 죽인 것은 나야. 나를 만나지 않았으면 카린은 죽지 않았을거야. 내가 문제야. 그래서 떠나는거야.” 패치는 자신이 만든 병원과 자신의 신념을 포기하면서 친구에게 말을 잇는다. “사람이 선하다고? 사람의 선한 면을 도와주면 좋은 사람이 될 거라고? 웃기지마. 그런 건 없어.” 자신의 모든 것을 정면으로 부정하기 시작한다. 페치가 처음 정신병원에 갔던 이유는 자살 충동 때문이있다. 자신이 밉고 싫어 견딜 수 없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문제라고 여겨지는 어떤 것이 찾아오면  ”문제님 오셨습니까? 어서 오세요. 제 마음의 왕좌에 앉으십시요하고 문제 그 자체를 자신의 주인으로 받아들인다. 결국 자신은 사라지고 문제덩어리만 남아서 자신을 혐오하게 되고, 급기야는 자신이 없어져야 문제가 사라진다고 까지 믿게 된다. 그러던 그가 스스로의 주인이 됨으로써 병원을 벗어났는데, 다시 옛 패턴대로 문제의 노예가 되면서 자기를 미워하기 시작한 것이다.

몇 년 전 시카고의 성폭행방지상담소에서 충격적인 보고서가 나온 적이 있다. 병원 원목이 조사를 해보니 입원한 중증 환자들의 상당수가 카톨릭을 포함한 기독교인이었다는 것이다. 원목이 좀더 세심하게  조사를 해보니 놀랍게도 그들 중 상당수가  “내가 성폭행을 당하는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내가 잘못한 것이 있어서 이런 벌을 받는 것이다라고 생각하고 있더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들이 성폭한 사람을 용서 했을까? 제대로 된 상황 판단과 정단한 분노를 할 줄 모르면서 무조건 자기 잘못이라고 생각하고 자책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기나 한 걸까? 자신에 대한 사랑이 바탕에 깔리지 않은 채 잘못을 자기에게로만 돌리는 것은 자기를 버리는 행위와 같다. 문제 자체가 나의 주인이 되어버리면  나는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게 된다. 문제인 자신만 잊으면, 자신만 죽어버리면 모든 게 해결된다고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이 타인을 사랑하지 못하듯, 자신을 용서하고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은 타인도 용서하지 못한다. 자신을 향해 괜찮은 사람’  이라고 말하지 못하는 사람은 타인에게도 괜찮은 사람이라고 말하지 못한다. 내 중심에 무엇을 두느냐. 나의 주인을 무엇으로 삼느냐에 따라 세상을 보는 모든 시각이 바뀌는 것이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원죄의식에 매여 하나님의 진정한 사랑, 내가 기뻐야 하나님이 진정으로 기쁠 수 있다는 사실은 받아들이지 못 하고 만다. 패치는 카린이 가장 기뻐할 수 있는 일이 바로 자신이 기쁘게 생활하는 일임을 깨달으면서, 자신이 가장 기쁘게 생활하는 일은 또한 남들의 얼굴에 기쁨의 미소가 떠오는 일임을 받아들이면서 다시 웃음으로써의 진료를 시작한다. 다시 한 번 자신에게 그 즐거운 삶을 허락한 것이다. (다음호에 계속)

 

 

LIST DETAIL GALLERY VOTE MODIFY DELETE  


 
글쓴이제목내용
전체글:373  방문수:1582430
RELOAD VIEW DEL DETAIL GALLERY
373 내 마음 소리를 들어보세요    정현숙전도사2025.03.01135 
372 마음의 상처 치유 공부를 하는 이유    배임순목사2025.03.0188 
371 내 가슴에서 들리는 소리    상담센터2025.03.0191 
370 [시] 초월의 불꽃    상담센터2025.03.01113 
369 우리 모두에게는 상처 내면아이가 존재    서지윤집사2025.03.0191 
368 봄을 기다리는 인내    이종욱목사2025.03.01110 
367 기쁜날은 즐거움으로, 슬픈날은 승리로    상담센터2025.01.31197 
366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이진여간사2025.01.31217 
365 아이는 부모의 감정상태를 먹고 자란다     정현숙전도사2025.01.31217 
364 우리가 행복해 지는 과제3    이진여간사2025.01.31204 
363 [시] 영혼의 눈을 뜨면    상담센터2025.01.31194 
362 자신을 돌아보는 삶    상담센터2025.01.31207 
361 나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용기로 시작하는 2025년    정현숙전도사2024.12.31448 
360 새해에 시작되는 이마고 커플 테라피 훈련    배임순목사2024.12.31338 
359 비젼과 열정으로 살아가는 새해, 2025년    고택원목사2024.12.31264 
358 [시] 새해에는 천국의 삶을    상담센터2024.12.31250 
357 도르가의집에 초대합니다    이진여간사2024.12.31297 
356 감정을 다스리는 사람    정현숙 전도사2024.11.30459 
355 나에게 무엇을 허락 할 것인가?    상담센터2024.11.30435 
354 [시] 새해를 기다리며    배임순목사2024.11.30412 
353 여러분, 사랑합니다    이진여간사2024.11.30368 
352 바보 소리 들으면 성공한 거야    이종옥 목사2024.11.30329 
351 45년된 바윗 덩어리    상담센터2022.10.30721 
350 [시] 광야의 노래 , 낙타    상담센터2022.10.30733 
349 내 인생의 안전기지    상담센터2022.10.30669 
RELOAD VIEW DEL DETAIL GALLERY
1 [2] [3] [4] [5] [6] [7] [8] [9] [10] 15     페이지로